|
이는 최근 김치 식품명인의 원재료 관리 부실에 따른 위생 문제 논란과 식생활 변화 등에 따른 김치 소비량 감소가 계속된 가운데 국산 김치의 효능을 소비자에게 각인시켜 전남산 김치의 소비 촉진을 이끌기 위한 것이다.
*연도별 1인당 1일 김치소비량 : '10) 108.1g → '17) 96.3 → '18) 89.2 →'19) 86.4
이번 국산김치 소비촉진 대책은 15일부터 7월 말까지 집중적으로 이뤄진다.
주요 내용은 ▲도와 시군, 농협, 외식업협회, 소비자단체 등 범도민이 함께하는 ‘국산김치 소비촉진 캠페인’ ▲공공기관과 기업체 등이 구내식당을 운영하지 않은 날을 ‘국산김치 사용 음식점 이용하는 날’로 지정‧운영 ▲남도장터 이용 쿠폰(5천 원)을 지급하는 ‘국산김치 사용 지정업소 이용 인증 이벤트’ ▲100% 국산원료 전남김치 할인행사 등이다.
이와 함께 전남지역 국산김치 자율표시제 목표를 지난해보다 1천680개가 늘어난 6천700개로 확대하고, 전국 최초로 국산김치 사용 음식점에 고춧가루, 천일염 등 식재료 구입비를 업체당 25만 원을 연계 지원한다.
이밖에 학교, 기업체, 외식업체, 수출바이어 등을 초청해 구매 상담회를 개최하고, 도내 주요 향토기업이 앞장서 천년의 맛 남도김치를 이용토록 할 방침이다.
소영호 전남도 농축산식품국장은 “국산김치 소비촉진 활성화 대책 추진을 통해 김치의 본고장인 전남산 김치의 우수성을 알리고 판매를 확대할 것”이라며 “모든 도민이 김치 바로 알고 먹기, 국산김치 사용 음식점 이용하기 등 김치 소비촉진 운동에 동참하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전남도는 지난해 국산김치 소비촉진을 위해 전국 최초로 민관협업형 ‘국산김치 사용 인증업체 표시제’를 추진해 도청, 전남도교육청, 전남지방경찰청 등 공공기관 구내식당과 학교, 기업체, 음식점 등 5천22개소를 지정했다.
관광지 주변 음식 거리의 음식점이 적극적으로 표시제에 참여했다. 지역별로 영광 굴비거리 30개소, 장흥 토요시장 25개소, 함평읍 장터와 무안 뻘낙지 거리가 각 19개소, 여수 낭만포차 18개소, 순천 웃장 국밥거리 17개소, 신안 섬뻘낙지거리 9개소, 완도 전복명가거리 8개소 등 150여 개소에 달한다.
김순화 기자 news@presszon.kr 김순화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