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각급 지자체, 주요기관들 선제적 예방조치 촉구
[프레스존] 북상중인 제11호 태풍 ‘힌남노’가 5일 밤과 6일 새벽 사이 광주전남에 직간접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여 걱정이 크다.
기상청에 따르면 힌남노는 5일 오전 6시 제주 서귀포시 남남서쪽 480㎞ 해상을 지났으며, 중심기압과 최대풍속은 각각 935hPa과 49㎧로, 강도는 '매우 강'이다.
태풍 중심과 국내 지점과 거리는 제주 500㎞, 경남 통영시 710㎞, 부산 780㎞, 경북 포항시 870㎞, 울릉도 1천80㎞다.
시속 21㎞로 북상하는 힌남노는 곧 북위 30도선을 넘어 5일 정오 서귀포시 남남서쪽 370㎞ 해상에 이른 뒤 우리나라로 방향을 틀겠다.
힌남노는 6일 0시 서귀포 남쪽 30㎞ 해상까지 '매우 강한 태풍'으로 위력을 유지하면서 북동진하고 오전 6시 부산 서남서쪽 90㎞ 해상을 통과한 뒤 상륙하겠다.
6일 0시와 오전 6시 힌남노 중심기압은 각각 940hPa과 950hPa로 예측된다.
가장 강한 세력으로 국내에 상륙한 태풍이 될 수 있는 것이다. 태풍은 중심기압이 낮을수록 위력적이다.
2003년 태풍 매미 이후 23년 만의 역대 급 태풍으로 분류된 힌남노는 강풍과 함께 매우 강한 비를 동반할 것으로 예보됨에 따라 지난 주말이부 정부와 지자체, 각급 기관들이 태풍 대비 비상대응체제에 돌입했다.
우선, 광주시와 전남도, 일선 시·군구 등 지자체들은 농축수산물 피해 예방 조치를 비롯 관내 주요 항구와 하천 취약시설과 환경시설 등의 피해 최소화를 위해 사전 점검하고, 대비 태세를 강화했다.
관내 하천 취약시설(가교, 친수시설 등)과 배수통문 등을 사전 점검한 데 이어, 태풍특보 발효 시 태풍 상황별 행동요령(주민대피 등)을 주민참여형 지역협의체에 전파해 인명과 재산피해를 최소화하는데 만전을 기하고 있다.
환경청은 특히 침수, 정전으로 인한 상·하수도 등 환경시설 피해를 예방하고, 강풍, 낙뢰에 따른 화학물질 취급시설이 파손되지 않도록 관계기관과 업체에 선제적 조치를 요청했다.
이번 태풍이 완전히 광주전남 지역을 빠져나갈 때까지 ‘풍수해 대책상황실’을 가동하고, 광주지방기상청, 영산강홍수통제소, 한국수자원공사 영·섬유역본부 등과 유기적인 협조체계를 구축하여 적극 대응할 계획이다.
기상상황, 홍수정보(하천수위 등) 등을 지자체와 상호 공유하고, 홍수취약시설 예찰, 주민대피 홍보 활동, 하천 위험지구 출입통제 등 실시간 협력체계를 가동하고 있다.
또한, 태풍피해 긴급복구 지원팀을 운영하여 태풍 상황이 종료되는 대로 하천시설, 상‧하수도 시설 등 분야별 피해 현황을 즉각 파악하고, 신속한 복구를 지원할 계획이다.
지역 재해예방 당국 관계자는 “이번 11호 태풍 힌남노는 강한 바람과 호우를 동반할 가능성이 커 피해를 예방하거나 줄이는 적절한 조치가 시급하다”고 비상 대응을 촉구했다.
배진희 기자 news@presszon.kr 배진희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