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병화 칼럼] 부산엑스포 유치전, 여수 경험 살리자

배병화 프레스존 대표·발행인 / 법학박사

배진희 기자 news@presszon.kr
2023년 03월 15일(수) 10:00
부산이 일본, 중국에 이어 아시아에서 세 번째로 등록박람회인 2030년 세계박람회를 유치할 수 있을까 관심이 증폭하고 있다. 세계박람회는 올림픽, 월드컵에 견줄 만한 3대 국제행사로 엑스포(EXPO, Exposition)라고도 불린다.

우리나라는 1983년 대전 엑스포, 2012년 여수엑스포를 개최한 바 있는데 모두 인정박람회로 치렀다. 일본은 1970년 오사카, 2005년 아이치에 이어 또 다시 오사카에서 2025년 등록박람회를 세 번이나 개최한다. 중국 상하이는 2010년 등록박람회에 뒤늦게 뛰어들고도 여수를 이긴 기억이 아직도 생생하다.

대전·여수 인정박람회 개최

등록박람회는 광범위한 주제를 다룬다. 5년 주기로 해당 개최도시에서 6개월 동안 열린다. 반면, 인정박람회는 특화한 주제로 제한한다. 같은 주기로 열리지만 행사 기간이 3주~3개월로 짧은 편이다. 전시관 설치비용을 누가 부담하느냐 여부도 다른 부분이다. 참가국들이 전시관 설치비용을 직접 부담하는 경우는 등록박람회, 주최국이 전시관을 설치하고 참가국이 무상 임대하는 경우는 인정박람회라는 차이가 난다.

등록박람회 유치에 뛰어든 부산은 다음달 2일부터 7일까지 국제박람회 기구(BIE) 실사를 받는다. 불과 18일 밖에 남지 않은 일정을 고려하면, 부산으로선 사활을 걸다시피 이 심사에 매달릴 판이다. BIE 실사단이 직접 부산을 방문, 심사에 나서는 만큼 이 과정은 결국 유치전의 전환점이 될 전망이다.

후보지는 오는 6월 4차 프리젠테이션을 거쳐 11월 세계 117개 회원국들이 참가하는 총회에서 투표로 결정한다. 박람회 유치를 신청한 도시는 대한민국 부산 외,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이탈리아 로마, 우크라이나 오데사가 포함돼 있다.

사우디와 2030등록박람회 경쟁

21년 전 등록박람회 좌절, 이를 딛고 인정박람회 유치에 성공한 여수의 사례에서 부산은 교훈을 얻어야 한다. 2002년 BIE 실사에 이어 그 해 12월 모나코에서 열린 제132차 총회 결과, 여수는 상하이와 4차 결선투표까지 접전을 벌이고도 ‘34 대 54’ 무려 20표 차이로 패배했다.

중국이 장쩌민 총서기, 주룽지 수상까지 직접 나서 유치 경쟁을 벌인 것과는 달리 우리나라는 정부로부터 전폭적 외교 지원이나 정치권으로부터 적극적 지원을 받지 못한 것으로 분석됐다.

그런 다음, 여수는 2005년 일본 아이치, 2010년 중국 상하이에 이어 2015년까지 3개 대회를 연속해서 동아시아에서 개회하기엔 무리라는 판단에 따라 2012년 인정박람회 유치로 급선회하게 됐다. 이윽고 2007년 11월 프랑스에서 열린 제142차 BIE 총회 결과는 여수, 모나코 탕헤르, 폴란드가 벌이는 결선투표 끝에 ‘77대 63’으로 탕헤르를 꺾는 기쁨을 맛보았다.

남해안권 협력·응원 '필요조건’

좌절에서 성공으로 승화한 여수박람회 드라마처럼 올해 부산박람회 유치 성공으로 이어지려면 아직 넘어야 할 산이 많다. 눈앞에 닥친 BIE 실사도 중요하지만 앞으로 회원국을 겨냥한 정부 외교전, 이에 보조를 맞춰야 할 주요 기업들의 경제·외교 지원, 여야 정치권의 전폭적 지원 분위기도 잇따라야 한다.

국가든 개인이든 과거의 실패 또는 성공이라는 경험에서 체득한 교훈은 훗날 성장의 자양분으로 작용한다. 다행스럽게도 부산-경남-광주-전남이 서로 협력하고 응원한다고 하니, 이 얼마나 다행스러운 일인가.

반드시 부산 박람회 유치의 성공을 위해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여수시, 순천시, 광양시를 중심으로 협력 체계를 갖추고 다음 달 BIE 실사 준비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 광주와 전남이 비록 정치적 결이 다른 지역일지언정 국가와 부산·경남의 발전 계기로 삼을 등록박람회 유치에 기꺼이 한마음 한뜻으로 힘을 보태면 든든한 우군이 되리라 기대를 갖게 된다.

미·일 지원, 여야 협치도 관건

세계로 눈을 돌려 보면, 부산의 등록박람회 유치전은 결코 안심할 계제가 아니다. ‘오일­머니’로 아프리카에 영향력이 큰 사우디아라비아를 딛고 넘어서야 하는 만큼 녹록치 않은 여정이다.

그 과정에서 외교적으로 우리와 가까운 미국·일본의 협력과 지지가 가장 강력한 수단이 될 터다. 중동·아프리카에 포진한 회원국 지지를 끌어 모으기 위해선 대한민국의 국력, 외교력이 그 성패를 가름할 ‘키(key)’임은 자명한 이치다.

배병화 프레스존 대표·발행인 / 법학박사
배진희 기자 news@presszon.kr     배진희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이 기사는 프레스존 홈페이지(http://www.presszon.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문의 메일 : bh1200@daum.net